본문 바로가기

공지사항

대표-행복드림옥천-알림마당-공지사항 상세보기 - 제목, 담당부서, 내용, 파일, 관련링크, 조회수, 작성일 정보 제공
쯔쯔가무시증 예방 홍보
작성일 : 2010-09-06 조회 : 150
담당부서 보건소
□ 쯔쯔가무시증은 어떤 질병이고 전파방법은 어떻습니까? ○ 쯔쯔가무시증은 리케치아과에 속하는 “오리엔티아 쯔쯔가무시”에 의해서 발생하는 전염병으로 풀에 붙어 있 거나 설치류에 기생하는 털 진드기 유충이 우연히 사람을 물어서 걸리게 됩니다.   □ 쯔쯔가무시증의 증상은 어떻습니까 ? ○ 감염 후 보통 6일~18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친 후에 급성으로 발생하여 두통, 발열, 오한, 발진 근육통 등이 나타나고 1cm 크기의 피부반점이 생겨서 수일 만에 상처(가피)를 형성합니다. ○ 기관지염, 폐렴, 심근염이 생길 수도 있으며 수막염 증세를 나타내기도 합니다. 일부 환자는 진드기에 물린 상처가 없는 경우가 있고, 열이 나는 기간이 짧으면 피부발진이 많이 나타나기도 합니다.   □ 쯔쯔가무시증에 걸리기 쉬운 경우는 어떤 사람들입니까 ? ○ 농촌에 거주하는 사람들 특히, 밭일을 하는 사람들에게 발병하기 쉽습니다. 하지만 최근에는 레져 및 야외 활동자가 감염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.   □ 쯔쯔가무시증 예방법 ○ 유행성 지역의 관목 숲이나 유행지역에 가는 것을 피할 것 ○ 들쥐 등과 접촉하는 환경을 피할 것 ○ 밭에서 일할 때에는 되도록 긴 옷을 입을 것 ○ 야외활동 후 귀가 시에는 옷을 세탁하고, 목욕을 함 ○ 진드기에 물린 상처가 있거나 피부발진이 있으면서 급성발열증상이 있으면 쯔쯔가무시증을 의심하고 서둘러 치료를 받을 것   가을철발열성질환이란? 구분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 정의 Orientia tsutsugamushi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질환 병원성 Leptospira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질환 한탄바이러스와 서울바이러스등에 의한 급성발열성질환 매개체 및 감염원 털진드기과 진드기 유충 감염된 동물의 소변으로 오염된 물, 흙 설치류(등줄쥐, 집쥐) 잠복기 8~11일 5~7일 7~21일 임상증상 가피형성, 고열, 오한, 심한 두통, 발진, 구토, 복통 등 가벼운 감기증상부터 치명적인 웨일씨병(Weil"s disease) 까지 다양함 발열기, 저혈압기, 핍뇨기, 이뇨기, 회복기의 5단계 전파경로 감염된 진드기 유충에 물려서 감염 감염된 동물의 소변에 오염된 물, 토양, 음식물에 노출시 상처 난 피부를 통해 감염 설치류의 타액, 소변, 분변이 공기 중 건조되어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 감염
파일
관련링크
댓글
댓글 쓰기

현재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.

공공누리 공공저작물

제4유형 : 출처표시 + 상업적 이용금지 + 변경금지 -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"공공누리 제4유형 : 출처표시 + 상업적 이용금지 + 변경금지"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
콘텐츠 만족도 조사

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?

만족도 조사

담당자 정보

콘텐츠 정보관리
담당부서 : 각 담당부서
연락처 : 내용 및 첨부확인
최종수정일 : 2018.08.23